2025.09.28 23:35

광교산 삼림욕과 함께한 걷기 좋은 ‘지게길’

수원의 팔색길을 걷다 1-지게길 편




본문

dc208-68d9475fe4576-94fb2c8e8a8edba831df95f0209e986f0b75f9e9.jpg

 

수원의 '팔색길'을 걸으면서 요즘 수원을 재발견한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지금껏 보지 못했던 수원의 숨겨져 있던 아름다운 풍경과 지금껏 알지 못했던 그 길에 숨어있는 이야기들을 하나하나 알아가면서 새로운 사실들도 알게 되었고 또 발견하고 있기 때문이다. 

길을 걷는다는 것은 참 매력 있다. 걸으면 걸을수록 풍성하고 다양한 콘텐츠로도 남으며 또 다양한 사람들과도 만날 수 있어 더욱 그런 거 같다. 지게길은 광교쉼터에서 부터 시작한다. 대부분 구간을 광교산 길을 걷게 되는데 무엇보다 광교산의 산림을 만끽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광교산을 자주 가지 않았다면 조금은 생소한 길일수도 있다. 

이 길은 광교쉼터에서 출발 수원천(광교천)을 따라 광교마을회관 모수길 교차점을 지나 한철약수터, 뱀골주말농장, 항아리화장실, 30년 역사를 지닌 파장시장까지 이르는 5.3km의 2시간 남짓 걸리는 길이다. 무엇보다 지게길 에서는 밭길과 논길 풍경 또한 많이 만나볼 수 있었다. 
걷는 내내 길 옆으로 길게 이어져 있는 주말농장 풍경이 왜 이 길이 지게길인지 짐작케 했다. 

가을이 서서히 오고 있는 9월 9일 일요일 오전부터 집을 나섰다. 오늘은 미루고 미뤘던 '팔색길'의 하나인 '지게길'을 걷기 위함인데, 무엇보다 광교산에서 오늘 시민 걷기대회가 있어서인지 더욱 걷고 싶었던 날이기도 했다.

 

dc208-68d9476da2d0f-46e4a681a3c3cccb6004027fde5976e6e7190f15.jpg

 

광교공원엔 점심시간이 되어서 도착했는데 많은 시민이 걷기대회를 마치고 경품행사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놀랐었던 것은 오늘 걸었던 사람들이 그렇게 많을 줄 몰랐다. 
광교공원 야외무대에 가득 메운 인파가 장사진을 이뤘다. 아무래도 요즘 걷기의 중요성, 생태도시, 건강이 중요시 되면서 걷는 시민들이 꽤 늘어난 듯 싶다. 뿐만 아니라 광교산으로 향하는 13번 버스는 주말이면 타지 못할 정도로 등산객이 몰리곤 한다. 

수원시내 풍경도 최근 들어 시내 곳곳에 등산복 차림의 행인들이 많이 목격된다. 몇 년 전만 해도 등산복의 사람들이 그렇게 많지 않았는데 요즘은 그 당시보다 몇 배는 걷는 인구가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원은 인근에 명산인 광교산이 있어 13번 버스 노선을 따라가면 항상 등산복 차림의 등산객을 쉽게 만나볼 수 있다. 가볍게 걷기 좋은 광교저수지 수변산책로 광교공원에서 좌측으로 가면 광교저수지 수변산책로로 가는 길이 있다. 

'지게길'은 광교쉼터에서 시작되지만 광교공원부터 걷기로 했다. 예전에 가끔 걸었던 광교저수지 수변산책로 구간을 또 걷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곳 수변산책로는 다른 곳과는 달리 짧은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오르막 구간과 내림막 구간이 적절히 섞여있다. 조금 걷다보면 오르막이 있고 올라가다 보면 또 내림막이 있고, 참 재밌는 길이다. 

 

dc208-68d9477b05a2d-b998763f78c1b815855a3cc59ad6a3b4082869c6.jpg

 

광교저수지 수변산책로는 수원의 길 중에서도 아름다운 길로 손꼽는다. 아름다운 광교산 산림풍경과 수변풍경이 적절히 어울려 수변산책로를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주고 있고 수변산책로를 걸으면 진한 숲 냄새와 물 냄새가 적절히 섞여 걷기 엔돌핀을 증가시키는 듯, 이 길은 걸으면 또 걷고 싶고 기억에도 많이 남는 길이기도 하다. 
지금 시각은 12:50분 광교공원 버스터미널을 시작으로 광교쉼터까지 오는데 30여분 흘렀다. 광교쉼터 앞에 있는 다리를 보니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모습이 보였다. '무슨일이 있는 것일까?' 광교저수지에서 뭔가를 발견한 모양인데 궁금해 다가가 바라보니 어른 팔만한 잉어들이 떼 지어 있는 모습이 보였다. 잉어들이 떼 지어 있는 모습을 보니 참 장관이다. 

아름다운 광교저수지 다리를 지나 곧바로 지게길 구간으로 접어들었다. 
이곳부터는 본격적으로 지게길이 시작된다. 또한 이 구간은 광교산 주요한 등산로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가는 코스이기도 하다. 수원 '팔색길'은 수원지역 내 역사문화 자원과 하천, 전통시장, 옛길을 연계한 8곳의 산책로로 구성되어 있는 길이다. 
무엇보다 이 길들은 수원의 대부분의 문화와 역사, 자연을 알아볼 수 있는 길로 되어 있으며, 수원사람이라면 한번쯤은 꼭 도전해볼만 하다.

 

광교공원에서 12시부터 시작된 걷기는 30여분이 지나 본격적인 지게길 구간인 광교쉼터 다리에 다다랄 수 있었다. 지금부터는 본격적인 지게길 구간이다. 지게길 구간에서는 밭길과 논길, 도심텃밭 풍경, 광교산 삼림욕을 즐길 수 있는 구간까지, 광교산 녹음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광교산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리를 오르면 광교저수지의 풍경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광교산에서 흘러내려오는 광교천의 깨끗하고 시원한 물주기는 가는 이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이곳엔 얼마 전 원천저수지와 신대저수지에서 이사를 온 잉어 떼들을 이곳에서 무리를 지으며 노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진풍경인 그 풍경을 보려는 등산객들은 그곳을 떠날 줄 모르고 있었다. 

광교천을 따라 이곳에도 수변산책로 구간이 있다. 무엇보다 이곳을 걸으면 물위를 걷는 느낌을 받았는데 길옆으로 흐르는 광교천 위를 걸어 그런 느낌을 줄 곧 받게 된다. 수변구간을 지나고 도로 다리 밑을 지나면 곧, 옛 시골길 느낌이 드는 길로 접어들게 된다. 

좌측엔 논이 있고, 우측엔 광교천이 흐르고 있다. 이런 풍경은 옛 인계동 지역에서도 많았던 풍경이여서 그런지 그리운 풍경이기도 하다. 지금은 중심가로 변한 인계동 지역도 어렸을 당시엔 거의 대부분 논과 밭 이였다. 여름철 논에서 개구리와 올챙이를 잡으며 놀았고 가을철엔 잠자리와 메뚜기를 잡으며 놀기도 했던 기억이 난다. 또 겨울엔 썰매를 타고 놀았던 기억이 난다. 지금은 수원은 어느새 큰 도시가 되어서 수원천과 구운동 몇 군데만 썰매 타는 곳이 남아있을 뿐이다. 

꿀벌도 겨울을 준비하는 듯 열심히 꿀을 모으는 일에 열중이다. 가까이 다가가도 도망갈 생각을 안 하고 이곳저곳 움직이며 자기 일에 충실히 한다. 곧 가을이 익어 가면 사람도, 자연도, 농사도 거둬들이는 시기가 올 것이다. 열심히 준비하고 가꾸고 노력했으면 풍성하게 얻을 것이오, 그렇지 못했다면 겨울을 힘들게 보낼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사람이나 자연이나 그 법칙은 수천 년이 지나도 변함이 없어 보인다. 

꽃과 벌을 보면서 느꼈던 것은 과연 나는 열심히 살고 있을까? 내가 하는 일에 농사를 열심히 지었을까? 하는 궁금증이 스치듯 지나간다. 어쨌든 자기 일에 열심히 하면서 겨울을 준비하는 꿀벌을 보며 지게길 그 의미를 나름대로 담고 다시 뚜벅뚜벅 걸어간다. 

10분 정도 걸어가면 곧 큰 느티나무가 앞을 가로막고 있었다. 수령 350년 보호수인 이 느티나무는 조금만 쉬었다 가라며 그늘과 앉을 자리를 마련해 준다. 이 구간부터는 회화나무 가로수 길로 7월이면 장관을 이루는 거리가 된다. 회화나무는 7월 중순쯤에 절정을 이루는데, 1.5km 구간의 가로수길에 회화나무 꽃이 필쯤에 그 풍경이 아름다워 개인적으로 '아름다운 풍경 100'으로 손꼽은바 있다. 

99개의 절과 분지가 있었다고 전해지는 신령스런 광교산과, 영험한 힘을 지닌 회화나무가 어울려 신비한 느낌마저 들었던 7월의 광교산 회화나무 거리, 그 풍경이 궁금하다면 7월경 꼭 한번 구경해볼만 하다. 

1.5km 구간의 회화나무 길을 걷다 곧 중간지점인 용수농원에 다다랐다. 지금 시각은 오후 1시 30분 광교공원에서 12시에 시작된 걷기는 어느새 1시간 30분이 흘렀다. 길이는 4km 이지만 아름다운 풍경을 보면서 걸으니 참 시간이 빨리 지나가는걸 느낀다. 

용수농원에서 걷는 길은 개인적으로 새로운 길이다. 처음 걷는 길이기도 한 이 구간은 항상 '제대로 된 길을 걸을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항상 꼬리를 문다. 그도 그럴 것이 산에서 길을 잘못 선택하면 한참 헤매기 일쑤다. 길을 걸을 땐 이정표가 있으면 항상 꼼꼼히 체크해 보고, 그것도 부족하다 싶으면 스마트폰을 키고 실시간 지도를 보면서 찾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도 지도에도 없는 갈라지는 길이 나오면, 또 지나가는 사람이 없다면 낭패다. 한참을 그곳에서 지나가는 사람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 다행히 이날은 갈라지는 길에 쉬고 있는 등산객을 어렵지 않게 만나 한철약수터 방향을 물어볼 수 있었다. 

이곳은 광교산 동네가 있는 곳이라 곳곳에 밭과 논이 많았다. 어찌 보면 수원에서도 몇 안남은 시골풍경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었다. 좌측으로 논을 구경하면서 한참을 걸어갔을까? 옆에 작은 연못이 보였다. 그 연못 속에 꽃이 보였는데 그 작은 공간이 이렇게 아름다울 수가 있을까? 작은 공간이었지만 아담하면서도 아름다웠던 연못이 인상 깊었다. 

지금 시각은 1시 42분, 곧 삼림욕을 만끽할 수 있는 광교산 숲길 구간으로 들어갔다. 
광교마을을 지나 300미터 올라가면 광교산 삼림욕으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 숲길 구간을 걷게 된다. 이 구간부터는 숲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 숲길 구간은 대부분 흙길로 되어 있어 무엇보다 걷기 편한 길, 걷고 싶은 길로 이루어져 있다. 

서서히 황금벌판으로 변하고 있는 논을 지나 벼가 익는 소리를 들으며 천천히 숲길로 들어갔다. 광교산을 오르거나 거닐다 보면 항상 만나는 게 있다. '무속탑'이라고 불리는 이 돌탑은 보편적으로 무속신앙에서 중요시되는 신산에 특히 많이 보이게 된다. 돌탑이 많은 광교산을 보면 이러한 모습들이 광교산을 더욱 신성하고 명산으로 돋보이게 하는 듯 하다. 

본격적으로 지게길 삼림욕 구간을 들어가면 울창한 숲길을 만날 수 있다. 20여분 걸었을까 드디어 이정표 구간인 한길약수터에 이른다. 약수터에 도착하자 지역주민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줄을 기다리며 물을 떠가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얼마 전 비가 많이 와서 그런지 물이 시원하게 나온다며 흡족해 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사람들과 함께 걷는 것도 좋아하지만 혼자 걷는걸 더 즐길 때도 있다. 여럿이서 걸으면 사람들과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서 좋고, 또 그 사람만의 독특한 이야기를 듣는 것도 재밌다. 하지만 생각이 많을 때는 혼자 걷는 걸 즐긴다. 혼자만의 공상 속으로 풍경을 그려보고 또 다양한 위치에서 그곳을 그려보곤 한다. 예를 들어 어느 때는 벌이 되기도 하고, 어느 때는 나비, 또는 나무가 되어 자연을 느껴보면 또 새롭고 재밌는 이야기들이 만들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숲에서 걷는 길은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자연의 일부가 되어 그곳을 느끼면 새로운 풍경이 더 아름답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 속에 이곳의 역사를 곁들여 이야기 하면 좋은 콘텐츠가 만들어질 거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광교산 지게길에서 만나는 도심텃밭 구간 
한길약수터에서 목을 축이고 잠시 이곳의 풍경을 바라봤다. 약수를 떠가는 사람들의 풍경 그리고 앞에 펼쳐져 있는 도심농촌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이곳부터는 수원 도시민들의 한해 농사를 짓는, 나름 이름을 붙인다면 '도시농부길' 구간이 된다. 

이곳에서 만난 한 시민은 "이곳에 7평 정도 저렴한 비용으로 분양을 받았는데 40폭의 배추를 심었고 일부는 검은콩과 고추 등을 심었다. 처음엔 농사를 못해 걱정도 많이하고 신경도 쓰였는데 이외로 배추가 알아서 잘 자란다"고 즐거워한다. 

자연은 참 신기하다. 자연은 사람에게 먹을 것도 제공해 주지만, 어느 때는 재앙을 주기도 하며 또 그 자연 속에서도 배우는 것 또한 많다. 요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는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대세인데 자연도 네트워크 법칙이 있다. 벌이 꽃씨를 날라주고 또 꽃은 그런 벌들에게 꿀을 주는 상호 협동의 작용이 있는가 하면, 개미와 같이 먹을 것을 발견하면 서로 도와 먹을 것을 공동으로 나르는 풍경을 자주보게 된다. 

사람도 마찬가지인데, 서로 돕고 서로 이익이 돼야지만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가 형성되는 듯하다. 주변사람들을 신경 쓰지 않고 독단적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자신의 주장만 내세워 나간다면 결코 사람과의 관계나 그 사회에 있어서도 성공치 못하는 삶을 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신보단 자기 주변부터 먼저 챙기고 서로 이익이 돼는 일을 해야 어떠한 일을 하든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1km 정도 이어진 도시 텃밭구간을 보면서 이런저런 생각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걷기를 30분, 곧 이정표 구간인 항아리 화장실에 다다랄 수 있었다. 

독특한 항아리 모양의 '항아리화장실' 
수원엔 특색 있는 화장실이 많다. 아름다운 화장실 가꾸기 사업을 하면서 시내 주요 명소에 다양한 테마로 꾸며진 화장실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곳도 마찬가지 독특한 항아리 모양의 '항아리화장실'이 세워져 있다. 

항아리화장실은 한국의 전통미와 순수성을 나타내는 콘셉트로 내부에는 흙벽을 이용하여 토속적이 향토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인간미와 정감이 나도록 설계했으며 실내엔 옛 고유의 그림과 아름다운 꽃 등을 설치해 놓고 있다. 

'수원광주이씨 월곡댁'을 가다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383에 위치한 수원광주이씨 월곡댁은 수원시 중요민속자료 제123호로 지정되어 있다. 지게길 구간을 걸으면서 잠시 찾아가 보았는데 이 건축물은 1888년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데 집 뒤로는 얕은 산이 둘러져 있고 앞으로는 조그마한 개울이 흘렀다고 한다. 

지정 당시 명칭은 '파장동이병원가옥' 이었으나, 현 소유자 이병원의 모친이 성주 도씨가 과거 안산군 월곡면에서 이곳으로 시집와 지은 가옥으로 '월곡댁'으로 불린 것을 반영하여 '수원 광주이씨 월곡댁'으로 2007년 지정명칭을 변경했다고 한다. 

안채와 바깥채, 헛간, 광이 울안에 자리하고 있는 구조로 안채는 평범한 ㄱ 모양의 부엌, 대청, 안방, 건넌방으로 되어 있고 짚으로 덮인 지붕이 꽤 두꺼운 모습의 초가집 형태를 띠고 있다. '수원광주이씨 월곡댁' 조선후기 주택 구조를 알아보고자 한다면 꼭 한번쯤 가볼만 하다. 

파장동시장을 가다 
도심지를 지나 지게길 마지막 목적지인 파장동 시장에 도착했다. 예전 효행길을 걸을땐 이른 아침 들러서인지 그때는 문이 거의 닫혀있어 시장의 활기를 느끼지 못했지만 오늘은 그 풍경이 달랐다. 사람들이 북적이며 시장의 본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다. 

시장은 역시 사람들이 많고 시끌벅적한 모습을 보여야 진정한 시장같은 모습이지 않을까! 일부러 이 시간대에 맞춰서인지 인근에 있는 값싸고 푸짐한 손칼수맛도 느낄 수 있어 나름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던 거 같다. 

수원 '팔색길'은 수원지역 내 역사문화 자원과 하천, 전통시장, 옛길을 연계한 8곳의 산책로로 구성되어 있는 길이다. 무엇보다 이 길들은 수원의 대부분의 문화와 역사, 자연을 알아볼 수 있는 길로 되어 있으며, 수원사람이라면 한번쯤은 꼭 도전해볼만 하다.

 

 



김홍범기자미니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